부가의문문 |
상대에게 동의를 구할 때, 또는 말하는 쪽이 자기가 하는 말에 대해 상대에게 다짐할 때 평서문의 바로 뒤에 의문문의 생략형을 붙인다. 이 의문문을 부가의문문이라 한다. 보통 긍정문에는 부정의문문의 생략형을, 부정문에는 긍정의문문의 생략형을 붙인다. 어떤 경우에도 본문과 부가의문문 사이에는 (,)를 찍는다.
만드는 방법의 구체적인 예
#1 be 동사의 _긍정 are_ → aren't + 주어? You're student, aren't you? (당신은 학생이지요?)
#2 be 동사의 _부정 are_ → are + 주어? You aren't a student, are you? (당신은 학생이 아니지요?)
#3 be 동사의 _긍정 is_ → isn't + 주어? He's busy, isn't he? (그는 바쁘지요?)
#4 be 동사의 _부정 isn't_ → is + 주어? He isn't busy, is he? (그는 바쁘지 않지요?)
#5 be 동사의 _긍정 am_ → aren't + l? I'm right, aren't I? (나는 정직해요. 그렇지요?)
* 보충설명
am not의 축약형은 ain't이나 부가의문문에서는 am not 대신 are not의 축약형인 aren't가 쓰이기도 한다.
#6 be 동사의 _부정 am not_ → am + I? I'm not late, am I (나는 늦지 않았어요. 안 그래요?)
#7 조동사의 긍정문 → 조동사의 부정형 + 주어? Yon can speak English, can't you? (당신은 영어를 말할 수 있군요. 그렇지요?)
#8 조동사의 부정문 → 조동사의 긍정형 + 주어? You can't speak English, can you? (당신은 영어를 말할 줄 모르는군요. 그렇지요?)
#9 일반동사의 긍정문 1, 2인칭의 경우 → don't + 주어? 3인칭의 경우 → doesn't + 주어?
You like English, don't you? (당신은 영어를 좋아하지요. 그렇지요?)
She plays the piano well, doesn't she? (그녀는 피아노를 잘치지요. 그렇지요?)
#10 일반동사의 부정문 1, 2인칭의 경우 → do + 주어? 3인칭의 경우 → does + 주어?
You don't like English, do you? (당신은 영어를 좋아하지 않지요. 그렇지요?)
He doesn't like japanese, does he? (그분은 일본어를 좋아하지 않지요. 그렇지요?)
#11 일반동사 과거의 긍정문 → didn't + 주어?
You didn't go to America last year, did you? (당신은 작년에 미국에 가지 않았었군요. 그렇지요?
부가의문문 읽는법
(A) 단순히 다짐할 때는 내림조로 말한다.
It's warm, isn't it? (따뜻하네요. 그렇지요.)
따뜻한지 아닌지의 여부를 상대편에게 물어 볼 필요는 없고 단순히 다짐이나 강조의 뜻에 지나지 않으므로 내림조.
(B) 상대편에게 yes나 no의 대답을 요구할 때는 올림조로 말한다.
You can call me tonight, can't you Linda? (오늘 밤 내게 전화할 수 있겠지. 그렇지, 린다?)
1. 부가의문문 160. 내가 틀렸군요. 그렇지요? 힌트: (틀렸다) be wrong I'm wrong, aren't I? 161. 나는 시간에 꼭 맞추었지. 그렇지? 힌트: (정각) on time I'm on time, aren't I? 162. 당신은 피곤하군요. 그렇죠? 힌트: (피곤하다) be tired You're tired, aren't you? 163. 당신은 여성에게 인기가 있군요. 그렇지요? 힌트: (인기가 있다) be popular You're popular with girls, aren't you? 164. 그는 누구와도 잘 어울려요. 안 그래요? 힌트: (누구와도 잘 어울린다) good-mixer, 반대어는 bad-mixer He's a good-mixer, isn't he? 165. 그는 사교성이 없어요. 안그래요? 힌트: (사교성이 없다) be anti-social, bad mixer, unsociable He's anti-social, isn't he? 166. 그는 단것을 좋아하는군요. 그렇지요? 힌트: (단것을 좋아하다) have asweet tooth He has a sweet tooth, doesn't he? 167. 그는 기억력이 좋군요. 안 그래요? 힌트: (기억력이 좋다) have a good memory He has a good memory, doesn't he? 168. 당신은 매일 충무로에서 갈아타는군요. 그렇지요? You change trains at Chungmuro every day, don't you? 169. 당신은 롯데 자이언츠를 응원하네요. 그렇지요? 힌트: (응원하다) root for, cheer You root for the Giants, don't you? * cheer도 쓰이나 특히 미국에서는 구어적으로 root for가 더 일반적. 170. 그는 이 근처에 살고 있군요. 안 그래요? 힌트: (이 근처) in this neighborhood He lives in this neighborhood, doesn't he? 2. 부가의문문 171. 당신은 그것에 발언권이 없군요. 안 그래요? 힌트: (발언권이 없다) have no say, have no voice You have no say in it, do you? * 보충설명 흔히 쓰는 say나 voice에 (발언권)이라는 의미가 있다. 쉬운 단어일수록 그 뜻이 다양하기 때문에 기본 단어일수록 그 단어의 다양성을 익힐 필요가 있다. 유창한 회화를 하는 지름길은 기본 단어 (특히 동사)를 얼마나 잘 알고 있느냐에 달려 있다. 172. 그러면 당신은 나를 도와 주지 않겠다는 것이군요. Then you won't help me, will you? 173. 그러면 당신은 나에게 화나지 않았다는 것이군요. Then you aren't angry with me, are you? 174. 당신은 나에게 동의 하지 않는다는 것이군요. 힌트: (동의하다) agree with (someone) You don't agree with me, do you? |
미래 표현의 will |
아래의 표는 모든 영문법 책에 나오는 전형적인 will, shall의 용법이다.
(1인칭 2인칭 3인칭 순)
단순 미래: I shall, Shall I? You will, will(Shall) you? He will, Will he?
의지미래(화자의 의지, 주어의 의지): I will You shall, You will He shall, He will
의지미래(상대방의 의지): Shall I? Will you? Shall he?
그러나 회화에서는 위 표와 같이 쓰이지 않고 다음과 같이 쓰인다.
(긍정문)
I (또는 We) will... (... 할 생각이다 / ... 한다)
I (또는 We) will... (... 일 것이다 / ... 한다)
You will... (... 일 것이다 / ... 한다)
3인칭 + will... (... 일 것이다 / ... 한다)
주의(1) 의문문을 만드는 법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말하는 쪽과 듣는 쪽 이외는 모두 3인칭이다. 따라서 he, she 만이 아니라 I, You 이외 모든 것이
3인칭인 것이다.
앞의 표를 보면 2인칭, 3인칭에는 의지미래가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인칭과 3인칭이 의지를 나타낼 때 회화에서는 보통 be going to를 사용한다.
주의(2) You will..., 3인칭 + will... 에서도 의지동사가 올 수 있다. 그러나 의지동사가 와도 그 의지에 중점이 두어져 있는 것이 아니고 미래의 시점에
초점이 있다.
예: She'll come here someday. (그녀는 언젠가 여기에 올 것이다.)
이 문장에서는 그녀가 온다고 하는 의지보다 그녀가 장래에 온다고 하는 (시점) 그 자체에 초점이 있다.
1. 1인칭 + will + 의지동사 175. 그러면 제가 내일 여기에 오겠습니다. 힌트: (그러면) then Then I'll come here tomorrow. 176. 그렇다면 제가 내일 여기에 들르겠습니다. 힌트: (들르다) drop in In that case I'll drop in tomorrow. 177. 그러면 저는 외합에서 당신을 지지하겠습니다. 힌트: (지지하다) support Then I'll support you at the meeting. 178. 그렇다면 우리는 내일 연락하겠습니다. 힌트: (연락하다) get in touch In that case we'll get in touch with you tomorrow. 179. 그러면 우리는 모레 오겠습니다. 힌트: (모레) the day after tomorrow Then we'll come the day after tomorrow. 2. 1인칭 + will + 무의지동사 180. 버스를 놓치겠다. 힌트: (놓치다) miss I'll miss the bus. 181. (나는) 금요일 오후에는 바쁠 것이다. 힌트: (금요일 오후) on Friday afternoon I'll be busy on Friday afternoon. * busy는 형용사. 따라서 (나는 바쁘다)는 I am busy. 라고 한다. am, is, are의 원형은 be, 조동사 will의 뒤에는 모두 동사의 원형이 온다. 182. (우리에게는) 곧 좋은 생각이 떠오를 것이다. 힌트: (생각이 떠오르다) think of We'll think of a good idea soon. 183. 우리는 곧 미국 요리에 싫증날 것이다. 힌트: (싫증 나다) get tired of We'll get tied of American food soon. * (아주 싫증 나다)라는 표현은 get sick and tired of이다. 3. 2인칭 + will 184. 당신은 시험에 떨어질 것이다. 힌트: (시험에 떨어지다) fail the test You'll fail the test. 185. 당신은 이 일을 나중에 후회할 것이다. 힌트: (나중에) later, (후회하다) be sorry You'll be sorry about it later. 186. 당신은 감기에 들 것이다. 힌트: (감기에 들다) catch acold You'll catch a cold. * 보충설명 : (감기에 들었다)는 have a cold이다. 187. (당신은) 비행기를 놓치겠어요. 힌트: (놓치다) miss You'll miss the flight. * 보충설명 : (비행기를 놓치다)는 miss the plane으로도 잘 쓰인다. 188. 당신은 다음주에는 바쁘겠군요. You'll be busy next week. 4. 3인칭 + will 189. 아마 그는 나에게 동의할 것이다. 힌트: (아마) probaby, (동의하다) agree with (someone) He'll probobly agree with me. 190. 그녀는 훌륭한 비서가 될 것이다. 힌트: (비서) secretary She'll be a good secretary. 191. 그들은 언젠가 우리를 초대할 것이다. 힌트: (언젠가) someday, (초대하다) invite They'll invite us someday. * 보충설명 : someday는 사전에는 some day로 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someday로 표기될 때가 많다. 192. 이 노래는 한국에서도 유행할 것이다. 힌트: (유행하다) be popular This song will be popular in Korea too. (의문문) (Will I (We), Will you, Will + 3인칭) + 무의지동사?(... 일까?) Will you + 의지동사? (... 해 주겠습니까? / ... 할 생각입니까?) 위 표를 보면 의지미래는 2인칭밖에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자기가 자기의 의지를 묻는 경우는 없기 때문에 Will I...? 에는 의지미래가 없다. 3인칭의 경우는, 회화에서는 be going to... 를 사용한다. 문장에서는 intend to, 또는 will이 사용될 때도 있다. 5. Will I + 무의지동사? 193. 나는 시험에 합격할까? Will I pass the exam? * 보충설명 : 문장에서는 examination을 사용하지만 회화에서는 exam이라 한다. 194. 나는 약속에 늦게 될까? 힌트: (약속) appointment, (늦다) be late Will I be Iate for the appointment? 6. Will you + 의지동사? 195. 제 말을 들어 주시겠습니까? 힌트: (말을 듣다) listen to one Will you listen to me? * 보충설명 : (듣다)는 listen to, (들리다)는 hear 라는 것을 정확히 구별해 둘 것. 196. 나와 함께 가 주시겠습니까? Will you come with me? 197. 오늘 밤 나에게 전화해 주시겠습니까? Will you call me tonight? 198. 전화를 받아 주시겠습니까? 힌트: (전화를 받다) answer the phone Will you answer the phone? * 보충설명 : answer 대신 get도 자주 쓰인다. 7. Will you + 무의지동사? 199. 모레, 당신은 바쁩니까? Will you be busy the day after tomorrow? 200. 열차 시간에 대겠습니까? 힌트: (열차 시간에 대다) make the train Will you make the train? 201. 내일이면 괜찮아질까요? Will you be all right tomorrow? 8. Will + 3인칭 + 무의지동사? 202. 그는 약속을 지킬까요? 힌트: (약속을 지키다) keep one's promise Will he keep his promise? 203. 이번에는 그가 성공할까요? 힌트: (성공하다) succeed Will he succeed this time? 204. 금년 겨울은 추울까요? Will it be cold this winter? 205. 내일은 눈이 올까요? Will it snow tomorrow? 206. 그는 길을 잃을까요? 힌트: (길을 잃다)lose one's way Will he lose his way? |
영국에서는 미국과는 달리 모든 경우에 쓰인다. 따라서 이 책에서는 미국식 고급 레스토랑, 고급 백화점, 사무실 등에 대한 예와 영국식의 부자간 대화를 소개했다. 많은 책에서 미국식의 경우인데도 친구끼리 쓰고 있는 것은 shall을 잘못 쓰고 있는 것이다. |
미국에서는 한국인이 생각하고 있는 것만큼은 쓰이지 않는다. 미국에서는 should가 사용되어, Where should we meet tomorrow?라고 한다. Shall we...? 가 미국에서 사용될 때는 응당 yes로 대답될 때 (또는 기대되고 있을 때)이다. 즉 Shall we? 의 형이라면 미국에서도 많이 쓰이고 있다. 이 책에서는 최초의 두 대화는 미국식 표현, 그리고 그 뒤의 세 가지 예문은 영국식 표현을 예로 들었다. cold(추운) → colder warm(따뜻한) → warmer small(작은) → smaller old(낡은) → older high(높은) → higher tall(키가 큰) → taller (B) 2음절 형용사에서 어미가 -er, -ow, -y, -some, -le로 끝나는 것은 어미에 -er을 붙인다. clever(똑똑한) → clever narrow(좁은) → narrower gentle(얌전한) → gentler (C) 마지막 음절에 악센트가 있는 2음절 형용사 polite(예의 바른) → politer profound(심오한) → profounder (D) 단모음 + 자음으로 끝나는 것은 그 자음을 겹친다. big(큰) → bigger thin(엷은) → thinner hot(더운) → hotter (E) 자음 + y로 끝나는 것은 y를 i로 고치고 -er을 붙인다. happy(행복한) → happier ealy(이른) → earlier easy(쉬운) → easier heavy(무거운) → heavier useful(쓸모 있는) → more useful famous(유명한) → more famous useless(쓸모 없는) → more useless (B) 3음절 이상의 단어는 모두 원형 앞에 more를 붙인다. important(중요한) → more important interesting(재미나는) → more interesting international(국제적인) → more international diligent(근면한) → more diligent influential(영향력 있는) → more influential good(좋은) → better bad(나쁜) → worse many(많은) → more much(많은) → more (A) 1음절 부사에는 어미에 -er을 붙인다. soon(곧) → sooner hard(열심히) → harder fast(빨리) → faster (B) 2음절 이상의 부사 slowly(천처히) → more slowly carefully(주의깊게) → more carefully (C) 불규칙적으로 변하는 부사 good(잘) → better well(잘, 능숙하게) → better 상대가 사용한 동사에 따라 아래와 같이 구분되어 사용된다. (1) 동사가 사용될 때 톰: 배가 고파. 베티: 그래? 그럼 무엇을 먹자. Tom: I,m hungry. Betty: Oh, are you? Then let's eat something. 톰: 어제 나는 집에 있었어. 베티: 어머, 그랬어? 몰랐었어. Tom: I was at home last night. Betty: Oh, were you? I didn't know. (2) can이 사용될 때 톰: 나는 프랑스어를 조금 말할 수 있어. 베티: 어머, 그래? 몰랐었어. Tom: I can speak French a little. Betty: Oh, can you? I didn't know. (3) will이 사용될 때 톰: 그럼, 내일 도와줄게. 베티: 어머, 그래? 고마워. Tom: Then I'll help you tomorrow. Betty: Oh, will you? I'm glad to hear that. (4) 일반동사가 사용될 때 론: 나는 서울대에 다닙니다. 김: 아, 그래요? 서울대는 좋은 대학이지요. Ron: I go to Seoul National University. Mr.Kim: Oh, do you? Seoul is a good college. 론: 나는 형제가 열 명 있습니다. 지금 모두 학교에 다니고 있습니다. 김: 아, 그렇습니까? Ron: I have ten brothers. Now all of them go to school. Mr.Kim: Oh, do you? 바바라: 나는 하버드를 나왔습니다. 김: 아, 그렇습니까? barbara: I graduated from Harvard. Mr.Kim: Oh, did you? 주의: 위의 모든 대화에 Oh, really? 또는 Oh, is that right? 를 쓸 수도 있다. ☞ 읽는 법 놀라움을 나타낼 때는 끝을 강하게 올려 말한다. 그다지 크게 놀라지 않았음을 나타낼 때는 끝을 가볍게 올려 말한다. * 기후 It rains a lot in Korea in july. (한국에서는 7월에 비가 많이 온다.) It snowed here last night. (어젯밤 여기에 눈이 왔다.) * 거리 How far is it from here to the airport? (여기서 공항까지는 얼마나 됩니까?) * 주위 환경 It's bright in this room. (이 방은 밝다.) * 시간 What time is it? (몇 시입니까?) too + 형용사는 (너무... 하다) 로 해석된다. very young (매우 젊다) too young (너무 젊다) 베티: 나는 뉴욕이 좋아. 톰: 나도 그래. Betty: I like New York a lot. Tom: So do I. 이런 패턴의 사용법에서는 앞문장의 동사에 맞춘다. 위의 대화와 같이 일반동사이면 So do I., 앞이 일반동사의 과거이면 So did I., can이 쓰였으면 So can I., be동사이면 So am I.(So is he. So are we. So was I. So was he. So were we.)로 된다. 또 주어가 1인칭인 경우에는 과거, 현재, 미래에 상관없이 Me too.를 쓸 수 있다. |
'회화 영문법 초급'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초 회화를 잘하기 위한 영문법(비교급 만드는 법) (0) | 2022.06.30 |
---|---|
기초 회화를 잘하기 위한 영문법(명령문 만드는 법) (0) | 2022.06.29 |
기초 회화를 잘하기 위한 영문법(의문사가 주어로 된 의문문) (0) | 2022.06.27 |
기초 회화를 잘하기 위한 영문법(의문사가 있는 과거의문문) (0) | 2022.06.26 |
기초 회화를 잘하기 위한 영문법(과거의문문 만드는 법) (0) | 2022.06.25 |